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안녕하세요.

경제비둘기입니다.

이번 실적발표 시즌에서 넷플릭스는 실적이 전망치보다 하회를 하였지만 오히려 주가는 상승을 하였습니다.

그래서 오늘은 왜 주가가 상승했으며 이에 따른 투자포인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넷플릭스 투자 포인트

POINT.1

4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

가입자는 예상치 상회

sec

실적발표에서 분기 주당순이익은 0.12달러로 시장 전망치 0.45달러보다 73.49% 하회해 어닝 쇼크를 기록했으며, 전년 동기 대비 90.98% 감소한 실적을 내놓았습니다.

반면 분기 매출은 78억5200만달러로 시장 전망치였던 78억4800만달러로 부합하면서 전년 동기 보다 1.85% 성장세를 보였습니다.

실적은 하회를 했는데 오히려 가입자 수는 예상치를 상회하는 수치를 발표하였습니다.

dtvresearch

이 결과 실적부진이 있었음에도 오히려 넷플릭스 주가는 가입자 증가라는 호재로 인해 급등을 하므로서 1차원적으로 실적만 보는 것이 아닌 구독자 수도 감안을 해야 하는 것이 포인트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.

POINT.2

저가형 광고 요금제

매출 기여 할까?

최근 월 $6.99에 광고 지원 구독 요금제를 출시했으며, 이는 이미 회사의 승리로 입증되고 있습니다. 경영진은 새로운 구독에 대한 증가하는 신규 가입 및 긍정적이다고 보고를 하였습니다.

하지만 저는 가격은 낮아졌지만 그만큼의 낮은 화질 제공 및 광고 시간 등 제한되는 부분이 워낙 많은 이 멤버쉽이 2023년 매출기여에 큰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라고 생각합니다.

POINT.3

계정 공유 유료화

과연 득이 될 것인가?

sec

세번째 투자포인트는 바로 계정 공유 유료화입니다. 최근 경영진은 1억 가구 이상이 자신의 계정을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추정치로만 본다면 분명 매출에 득이 볼 수 있다 생각합니다.

제 생각에도 이번 정책으로 단기적으로 구독자 이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"결국 볼 사람은 보게된다."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

결국 장기적으로 볼 땐 분명 이 계정 공유유료화는 기업 입장에서는 득이 되는 정책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봅니다.


글을 마치며..

경제비둘기의 한마디

primetimer

저는 넷플릭스 투자에 대해 의견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"그럼에도.."라고 하고 싶습니다. 광고 요금제,공유 계정유료화 등 소비자 입장에선 분명 등을 돌릴만한 내용들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단기적으로 구독자 이탈은 있을 순 있겠지만 위에 2022년 하반기 구독자수가 다시 증가한 것처럼 돌고 돌아 결국 다른 플랫폼인 아닌 넷플릭스로 다시 가입하게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.

결국 2023년 넷플릭스 주가는 양날의검이라 할 수 있는 이번 정책을 통한 수익성 개선할 수 있냐에 달려있다고 봅니다.
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11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 29
30
글 보관함
반응형